이번 강의에서는 Java Programming의 가장 기초를 배우게 됩니다.
Language Elements
보통의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에는 이런 기본요소들이 있습니다.
Key Words: 어떠한 특수 목적에만 사용되는 단어들입니다
Operator: 특정 기호들로써 하나 이상의 Operands사이에서 오퍼레이션을 사용합니다.
Punctuation: 마침표, 쉼표, 느낌표, 콜론, 세미콜론 등을 Punctuation이라고 합니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특정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grammer-Defined Names: 프로그래머가 직접 정한 이름들입니다. 보통 프로그래머가 만든 메모리 내 공간의 주소같은것을 알기 쉽게 해놓은 것들이죠.
Syntax: 모든 언어에 문법이 있듯이 프로그래밍 언어에도 문법이 있습니다. 그 문법이 바로 Syntax입니다.
Example 1) Payroll.java
*
public class Paryoll
{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args)
{
int hours = 40;
double grossPay, payRate = 25.0;
grossPay = hours * payRate;
System.out.println("Your gross pay is $" + grossPay);
}
}
*
여기에서 보시면 public class 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 부분이 바로 'Key Words'입니다.
나중에 가면 더 자세히 배우겠지만, public과 class는 각각 저 프로그래밍 된 파트들이 무슨 역할을 하게 될 것인지를 짐작할 수 있게 해줍니다.
static, void, int, double 모두 프로그래밍 속에서 어떠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에 모두 Key Words입니다.
프로그래머는 hours, grossPay, payRate의 세가지 부분을 명명했습니다.
이 세개의 이름들은 프로그래머가 직접지정한 이름들이기 때문에 Programmer-Defined Names라고 불립니다.
grossPay = hours * payRate; 부분을 보면 = 와 * 두개의 기호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두가지는 Operators 입니다. 왜냐하면 = 는 오른쪽에 있는 모든 수식 및 데이터를 왼쪽의 이름에 넣는 기능을 하고, *는 기호를 중심으로 있는 양쪽에 있는 두개의 값을 곱해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군데군데 보면 세미콜론(;) 기호가 있는데, 이 기호는 Punctuation의 일종입니다.
세미콜론이 하는 기능은 "여기까지가 내가 적은 프로그래밍의 한 줄(Statement)입니다." 라는 뜻입니다.
Lines and Statements
Java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는 그냥 보기에는 한줄한줄 있는 것 같지만,
사실 앞으로 줄을 구분할때에는 'Statement'로 구분하는게 더 좋습니다.
세미콜론이 모든것의 기준이 되는 것이지요.
Variables(변수)
Java 프로그램은 데이터를 메모리 공간안에 저장하는데, 저장할 때 이용하는 것이 variable 입니다.
이 variable은 프로그래머가 알기 쉽도록 데이터 저장공간의 이름을 정하는데 도움을 주고,
또한 어떤 메모리에 무엇이 있는지 빨리 알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우리가 IP주소를 가지고 인터넷 사이트를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DNS를 이용하는 이유처럼 말이죠.
int hours = 40;
위의 예제에 나와있던 프로그램의 일부분입니다.
이 Statement에서
int 부분은변수의 타입을 결정하는 부분이고,
hours는 변수의 이름이며,
= 40은 40이라는 값을 hours에 넣겠다는 뜻이고,
;는 Statement를 끝마치는 말입니다.
여기에서 Integer 타입으로 생성된 hours라는 변수에는 40이라는 값이 들어가게 되는데, 이 40이라는 값은 RAM(Random Access Memory)에 들어가 저장되게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어디에 저장되 있는지 알게 하기 위해서 변수들이 필요한 것이지요.
실제로 변수들은 값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고, 그 값이 저장되있는 저장소의 주소를 알고 있는 것입니다.
The Compiler and the Java Virtual Machine
우리가 보통 사용하는 Java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는 High Level Language라고 불립니다.
인간이 알아먹을 수 있는 언어라는 이야기이지요.
반면에 컴퓨터라는 기계는 0과 1로 이루어진 Binary Language만 알아먹습니다.
그런 언어를 우리는 Low Level Language혹은 Machine Language라고 합니다.
프로그래머들이 High Level Language를 사용하여 적는 프로그램을 Source Code라고 하는데,
이것을 Low Level Language로 변환시켜주는 녀석이 Compiler입니다. 번역기죠.
사실 자바 프로그램들은 바로 컴퓨터가 알아먹을수 있는 상태로 프로그램을 바꾸지는 않지만
Java Virtual Machine이 알아먹을 수 있는 수준인 Byte Code로 프로그램을 바꿉니다
Java Virtual Machine(JVM)은 CPU같은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으로써 CPU대신에 자바 프로그램을 이해하고 실행하게 도와줍니다.
이번 강의의 결론을 좀 함축해서 말씀을 드리자면, 앞으로 프로그램을 짜면 이런 순서가 됩니다.
1. 프로그램을 작성
2. 컴파일러를 통한 컴파일링
3. 실행
다음 강의에서는 실제 프로그래밍이 어떤식으로 돌아가는지를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공학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Programming - Environment (0) | 2013.02.23 |
---|---|
Java Programming - Introduction (0) | 2013.02.23 |